Skip to content

디딤건축사사무소디딤건축사사무소

조회 수 21196 추천 수 6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옥상정원 시공시 주의사항

1.방수대책

옥상정원에 적용하는 방수는 건물 내부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 이외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여 방수층을 뚫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근성이 요구된다. 또한 방수공사를 마무리한지 얼마 안 된 신축건물이나 방수공사를 완료한 기존 건물이라도 옥상녹화를 계획할 경우 기존의 방수층이 옥상녹화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었는지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옥상녹화에 가장 적합한 방수는 염화비닐계 시트방수공법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일부 우레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우레탄은 뿌리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근성이 전혀 없으므로 우레탄도막 위에 FRP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이 복잡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참고로 아스팔트, 콜타르, 우레탄 등은 옥상녹화에 부적합한 방수재료이다.

만약 이 재료를 사용한다면 별도의 방근처리가 필수이다.

식물의 뿌리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근시트는 녹화되는 식재의 유형이나 방수층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토심이 10㎝내외인 보급형 옥상조경에서는 염화비닐계나 FRP계 방수의 경우 별도의 방근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2.배수대책

옥상조경에서 배수층이 가지는 의미는 방수 못지않게 중요하다. 식물의 생장과 구조물의 안전에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신중하게 설계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단기간에 집중호우가 내리는 강우특성에서는 배수량을 산정하여 수평방향의 배수도 고려해야 한다. 배수를 행하기 위한 물구배는 최저 1/100 이상으로 설치해야하며 가능한 경우 1/75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바람대책      

▲ 옥상정원 기초 작업.

옥상에서는 강풍에 의해서 식물의 생육 장해, 수목의 쓰러짐, 나무줄기가 꺾여 날아가거나 토양이나 낙엽의 비산이 생기는 일이 있다. 옥상녹화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방풍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풍속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벽, 방풍망, 상록수의 외주 배치, 수목 지주재의 설치, 그리고 토양의 비산 방지에는 지피식물이나 버크 팁에 의한 멀칭 등의 대책이 있다.

4.토양대책

옥상조경을 할때는 반드시 인공토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펄라이트(Perlite)는 화산작용으로 생긴 진주암을 850~1200℃로 가열, 팽창한 인공 토양이다. 진주암을 순간적으로 고열로 가열할 때 안에 있던 수분(2~6%)이 밖으로 나와 팽창하는 원리이다.

펄라이트라는 흰색이고 가볍다.

또한 물을 잘 통과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배수층에 쓴다.

옥상조경이나 실내조경용으로 많이 쓰이는 토양이며 유해성분은 없다. 인터넷 쇼핑몰이나 조경 자재판매 하는곳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 옥상정원 사례.

5.요점정리

옥상정원은 강한 바람과 건조, 하중의 조건에 의한 제한적인 식재를 하게 된다.

인공구조물위에 조성된 인공식재지반은 식물의 자유로운 생장을 보장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옥상환경에 맞는 식물을 선정하여 적응을 돕고 생육불량, 고사 등 하자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옥상 전체에 식재를 하는 방식은 하중을 고려하여 얕은 토심에서도 생장이 가능한 지피류를 주로 선정하게 되는데, 관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짧은 초장과 느린 생장속도, 낮은 수분요구도를 갖는 식물이 우선이다.

반대로 경관적인 측면을 고려한 디자인에서는 식재가 통상적인 옥상정원 용도가 그러하듯이 휴식, 만남, 레크레이션의 장으로 정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아름다운 수목을 선정하여 식재하게 된다.

또한 옥상이라는 장소적 특성상 인공관수가 어려우므로 수분요구도가 높은 식물을 선정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도심의 공해와 병충해에도 내성이 강한 식물을 선정할 필요가 없다.

이식후 활착이 빠른 식물은 해를 입어도 회복이 빠르다.

초본류는 가능한 키가 작고 잎과 가지가 조밀하여 토양 피복 상태가 양호한 수종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토양은 배기가 잘 되고 식물 뿌리의 산소공급을 위해 느슨한 조직구조여야 한다. 또한 물을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다.

토양은 바람과 다른 소용돌이의 힘 때문에 날리지 않는 자체중량이 있어야한다. 그러나 옥상정원을 위한 경량의 요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되도록 가벼워야 한다. 이를 위해 옥상정원에서는 마사, 바크, 화산석, 분쇄목 등 중량의 재료로 최소 3cm 두께의 멀칭을 실시한다.

옥상정원의 토양은 추위가 올 때 구조가 변해서는 안된다. 식물 외에 지붕 패킹을 약화시키거나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해로운 물질도 없어야한다. 잡초뿌리와 종자등이 섞이지 않는 것이 좋으며 최소한 초기 단계에 잡초종자나 식물해충, 병원체를 제거 해야 한다.

한국주택신문 칼럼리스트 하영그린 하현영 대표


   
?

자유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으며, 본 사이트와 성격이 다른 광고게시물은 관리자 임의로 삭제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 ★건축 적산 견적 정확하게 업무 대행해 드립니다★ 제일적산 2009.02.02 15233
128 ★건축 적산 견적 정확하게 업무 대행해 드립니다★ 제일적산 2009.10.07 10817
127 ★건축 적산 견적 정확하게 업무 대행해 드립니다★ 제일적산 2010.04.29 11994
126 ★오스트레일리아산 수입 건축마감자재 납품업체입니다.★ file 미드랜드 2007.09.17 14349
125 ☆경일철거☆ 협력업체 희망합니다^^ 경일철거 2011.12.08 11873
124 간이팩케이지 설치및 스프링 클러 CPVC 배관 시공 전문 소방설비공사노임공사환영 2013.05.15 13113
123 건강한 열대어 고르기가 관건 file 열대어 2010.04.20 12689
122 건설사업분석검토자동화 마크인 2006.07.18 14336
121 건축 사업타당성분석 안내 markin 2008.06.20 10648
120 건축견적의뢰요청(적산) 윤형근 2010.05.14 10626
119 건축과 상상력의 만남_ 스페이스 마케팅 저자 홍성용 대표 풍류일가 2008.10.10 10609
118 건축도면(3D투시도) 그려드립니다 cgc 2008.02.27 11480
117 건축디자인 기초스킬부터 세부 응용까지..!! tas 2013.11.28 11082
116 건축및 인테리어 이미지 자료 aimage 2007.12.09 10399
115 건축법 개정이 주거용 건축물의 형태에 끼친 사례 건축법 2006.04.28 14873
114 건축스케치에서 그래픽까지~!! 타스건축 2009.11.11 9535
113 건축실무에 유용한 '도시+건축 인허가 실무서'를 소개합니다. file 도서출판 공유 2009.08.10 10774
112 게시판 광고대행 게시판 글등록 대행 인터넷 2011.06.30 12380
111 결혼식 돌 회갑연 비디오테이프 => DVD나 AVI파일로 디브이디로 2013.01.10 16189
110 공동주택층간차음재(60mm-반건식제품) 양지이앤씨 2011.01.28 113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서울특별시 관악구 난곡로47길 13, 1층(신림동, 아트파크)
디딤건축사사무소
전화 : 02)853-2233 02)848-0578 팩스 : 02)862-8531 이메일 : didim@naver.com

Copyright © by DIDIM ARCHITECTS & PLANNERS. ALL RIGHTS RESERVED
Since 2004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